2015년 1분기 러시아 북한 교역 동향
□ 2015년 러시아의 對 북한 무역
○ 러시아 연방 관세청에 근거하여 World Trade Atla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1분기 러시아의 대북한 수출액은 1천7백만 달러로 전년도 동기 대비 약 30% 감소하였으며, 수입액은 57만 달러를 기록, 전년 대비 44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.
○ 전반적인 북러 교역량 감소는 러시아의 경기 침체 요인이 커서 2015년 1분기 러시아의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37% 감소, 수출은 27% 감소하였으며, 1분기 산업생산증가율은 -0.6%, 소매매출 증가율은 -6.7%를 기록하였음.
러시아의 對 북한 교역 현황
(단위: 백만 달러, %)
구분 | 2013년 | 2014년 | 2015년 1월-3월 | 전년대비 증가율(%) |
수출 | 96.51 | 82.17 | 17.65 | -29.54 |
수입 | 7.71 | 10.17 | 0.57 | -44.16 |
총계 | 104.22 | 92.34 | 18.2 | - |
자료원 : World Trade Atlas, 러시아 연방 관세청
□ 수출
○ 2015년 1분기의 대 북한 수출 품목 1위는 HS Code 기준으로 ‘오일 및 가스’로 전년 동기 대비 112% 증가하였으며, 러시아의 對 북한 전체 수출규모의 90.8%를 차지함. 러시아의 對 북한 수출 상위 10개 품목 중 제분, 조제 식료품을 제외하고 모든 품목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음.
○ 1위 수출품목인 오일 및 가스‘ 품목은 유연탄이 대부분으로 1분기 유연탄 수출액은 약 1천4백만 달러를 기록. 가구는 전년 동기 대비 약 3500% 증가한 7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, 2013년과 2014년 수출이 전혀 없었던 설탕과 인조스테이플섬유가 2015년에 북한으로 수출되었음.
2015년 1분기 러시아의 對 북한 수출 상위 10개 품목
(단위: 백만 달러, %)
HS 코드 | 품목 | 금액 | 비중(%) | 증감률(%) |
- | 총계 | 17.64 | 100 | -29.54 |
27 | 오일 및 가스 기타 | 16.02 | 90.8 | 112.5 |
03 | 수산물 | 0.69 | 3.94 | 43.17 |
44 | 목재 | 0.48 | 2.73 | 25.58 |
12 | 각종 종자 및 과실 | 0.08 | 0.45 | 0 |
94 | 가구 | 0.07 | 0.41 | 3513.88 |
17 | 설탕 | 0.06 | 0.37 | 0 |
11 | 제분 | 0.03 | 0.21 | -93.04 |
55 | 인조스테이플섬유 | 0.02 | 0.17 | 0 |
22 | 음료 | 0.02 | 0.16 | 212.33 |
21 | 조제 식료품 | 0.02 | 0.15 | -73.22 |
자료원 : World Trade Atlas, 러시아 연방 관세청
□ 수입
○ 악기와 플라스틱이 각각 2015년 1분기 러시아의 對 북한 수입량의 57.4%, 26.2%를 차지함. 고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664% 증가하여 0.14%를 차지함. 러시아의 對 북한 수입 상위 10개 품목 중 플라스틱과 고무를 제외하고 모든 품목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였음.
2015년 1분기 러시아의 對 북한 수입 상위 10개 품목
(단위: 백만 달러, %)
HS 코드 | 품목 | 금액 | 비중(%) | 증감률(%) |
- | 총계 | 0.57 | 100 | -44.16 |
92 | 악기 | 0.32 | 57.4 | -2.71 |
39 | 플라스틱 | 0.14 | 26.2 | 50.35 |
84 | 기계류 | 0.03 | 6.17 | -56.46 |
85 | 전기기기 | 0.02 | 4.1 | -63.3 |
56 | 방직용섬유 | 0.01 | 3.36 | 0 |
73 | 철강제품 | 0 | 1.3 | -72.98 |
49 | 인쇄서적 | 0 | 0.69 | 0 |
35 | 단백질계물질 | 0 | 0.31 | 0 |
65 | 모자류 | 0 | 0.3 | 0 |
40 | 고무 | 0 | 0.14 | 664.08 |